카테고리 없음

MBTI 도대체 무엇일까? [MBTI 탐구생활]

spahzld 2025. 3. 21. 13:37

몇년전부터 MBTI가 MZ세대 사이에서 유명해지면서 갑자기 너도나도 MBTI유형이 뭐냐며 묻기 시작했다.

친구들사이에서, 혹은 처음 만나는 사람끼리, 혹은 소개팅할때에도 MBTI유형이 뭐냐고 묻고 

자신이 알고있는 어느정도의 정보로 대략적으로 어떤사람일지를 가늠하게된다

 

예전 우리 어른들의 세대는 혈액형이 무엇이냐고 물었더랬다

AB형 A형 B형 O형 

그래도 4가지 혈액형으로 사람을 판단하는 것보다는 MBTI유형은 16가지나 되니 그나마

나아졌다고 해야할까? 

 

MBTI의 이해 

MBTI 는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 1875 ~ 1961)이라는 스위스의 정신의학자의 심리유형론에 근거하여 개발이된 성격유형검사에요

칼 구스타프 융

 

심리학에서는 굉장히 유명하신 분인데요, 사람의 심리유형을 처음에 3가지로 분류를 하셨어요. 

 

1) 태도의 개인차

2) 선호하는 인식양식의 개인차

3) 선호하는 판단양식의 개인차 

 

사람들간의 상이성은 불규칙한 것이 아니라 유형이라는 패턴을 형성한다고 본 것이죠. 

 

태도의 개인차는 우리가 외부세계를 대하는 태도의 차이라고 보면되요. 유형에서 외향성 E과 내향성I을 구분하게 되죠

 

선호하는 인식양식의 개인차는 우리가 정보를 습득하는 방식의 차이라고  보면되요, 유형에서 감각형 S과 직관형 N으로 구분하게되요

 

선호하는 판단양식의 개인차는 외부세계로부터 습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과 결정을 내리게 되는데 판단과 결정을 내리는 방식의 차이라고 보면되요, 사고형  T와 감정형 F로 구분하게되요

 

이렇게만 보면 엇 ? J 계획형 과 P 인식형 두가지가 없는데요? 라고 할수 있어요. 

융(Jung)은 처음에 이렇게 3가지 양식으로 분류를 했었고 이후에 융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MBTI를 개발할때 J와 P를 포함시킨것입니다. 

 

'캐서린 브릭스' & 그녀의 딸 '이사벨 마이어스'

 

융의 이론을 토대로 위 사진의 캐서린 브릭스와 그녀의 딸 이사벨 마이어스가 mbti검사를 개발했는데요, 

 

캐서린C. 브릭스 (1875 ~ 1968)

사람들간의 개인차에 대한 관심을가지고 전기문을 통해 성격유형에 대한 개인적인 이론을 개발

1923년 발표된 융의 저서 Psychological Types 읽게되고 그 후 20년간 융의 이론을 타당화하고 응용하는데에 일생 연구 

 

이사벨B. 마이어스 (브릭스의 딸, 1897 ~ 1980)

브릭스와 공동으로 융의 이론을 토대로 1943년부터 문항을 개발

선호지표와 유형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문항을 개발하고 mbti라는 이름으로 1962년 검사를 소개

 

MBTI의 M은 Myers(마이어스)의 M, B는 Briggs(브릭스)의 B에요, T는 type , I는 Indicator

그래서 MBTI로 줄여서 이야기합니다. 

MBTI의 특징 및 목적

* MBTI에는 맞고 틀린 답이 없다

* 다른 유형에 비해 더 좋거나 나쁘거나 병들거나 건강한 성격유형은 없다

* 모든유형은 가치롭다 

* MBTI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은 정보를 받아들이고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있어 개인차에 대한 것이다

* 유형별로 가장 효율적으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을 규명하고 확인한다.

* "정신이라는 황무지에서 길잡이가 되어준다"

* 다른 유형을 이해하고 가치를 부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 "서로 다른 점을 건설적으로 사용하도록 장려한다"

* 생애 전반에 걸친 성격발달의 주요 측면을 이해할 수 있다. 

 

참조: ::(주)한국MBTI연구소::

MBTI 네가지 선호경향

mbti에서는 4가지 심리적 선호 경향이 있다고 이야기를 해요 

 

외향성(Extraversion) <---- 에너지의 방향----> 내향성(Introversion)

 

감각형(Sensing) <----인식기능/정보수집----> 직관형(iNtuition)

 

사고형(Thinking) <----판단기능/결정, 선택----> 감정형(Feeling)

 

판단형(Judging) <----생활양식----> 인식형(Perceiving)

심리적 선호

* 더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게 사용하는 것

* 상대적으로 편하고 쉬운것

* 선택적으로 더 자주 많이 쓰는 것 

* 상대적으로 더 쉽게 끌리는 것

* 선택적으로 더 좋아하는 것

* 자연스러운 것 

 

mbti에서 예를들어, 인식기능 S(감각형), N(직관형)  두가지 기능중에 나는 정보를 수집할 때 직관적으로 나의 육감에 의지하여 정보를 파악하기 보다는 나의 오감(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을 활용하여 직접 경험해보고 사실로 확인된 정보들만 인식하는 것을 더 지속적으로 더 많이 자주 사용하고 그러한 방식을 좋아하고 그게 자연스럽다면 그것을 심리적인 선호라고 합니다. 

 

E, I라고 해서 이분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닌 우리는 외향성과 내향성 일직선상에 어딘가에 위치해 있는가가 더 중요합니다. 우리는 외향성도 있고 내향성도 있습니다. 둘중에 어느것을 사용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지에 따라서 유형이 나오는 것이지 양분하여 생각할 수는 없습니다. 

 

여러분의 심리적 선호는 무엇인가요 ?